본문 바로가기
정부 정책 지원제도

2025 임신 및 출산 혜택과 지원 최종 정리

by salon205 2025. 7. 17.

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정보들을 모아 2025년 임신 및 출산 혜택 정리해보았습니다.

2025 임신 및 출산 혜택과 지원 최종 정리

 

임신 중 받을 수 있는 혜택 요약

 

1. 임산부 건강관리 바우처
→ 임신 시 100만 원 상당 바우처 지원 (진료, 건강용품 구매 등)

2. 철분제·엽산제 무료 제공
→ 보건소 방문 시 무료 제공

 

3. 임산부 전용 기차 할인 (동반자 포함)
→ 기차 30% 할인

4. 직장 내 근로시간 단축(2시간)
→ 출퇴근 시간 조정 가능, 업무 경감 의무화

 

 

 

출산 후 받을 수 있는 혜택 요약

 

1. 첫 만남 이용권
   → 200만 원 바우처로 지급(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)

         * 현금이 아닌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

 

2. 부모수당

0세 아동 (만 0세) 월 100만 원 모든 가정 어린이집 미이용 시 현금 100% 지급
0세 아동 월 50만 원 +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정부가 직접 지원, 차액은 현금
1세 아동 (만 1세) 월 50만 원 모든 가정 어린이집 이용 여부 관계없이 동일
2세 이상 지급 없음 - 다른 복지제도로 연계됨

 

    *  부모급여 신청 방법

      신청처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
     지급 방식: 매월 25일, 보호자 계좌로 현금 지급 or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로 자동 전환

 

3. 산후조리비 지원

소득 수준별 지원 구조

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약 80~90% 지원 최소 부담 (수만 원 수준) 우선 지원 대상
150% 초과 ~ 180% 이하 약 50~70% 지원 본인 부담금 증가 일부 자치단체 추가 지원 가능
180% 초과 ~ 고소득층 약 40~50% 지원 본인부담금 큼 자부담 있음, 그래도 신청 가능!

 

4. 긴급보육 서비스

운영 주체 여성가족부 / 아이돌봄지원사업 통합
대상 연령 만 3개월 ~ 만 12세 이하 아동
지원 대상 가정  
✔ 맞벌이 가정  
✔ 한부모 가정  
✔ 질병·입원 등 긴급 사유 발생한 가정  
✔ 양육자가 갑작스레 부재한 경우  
✔ 학교나 어린이집이 갑작스레 휴원한 경우 등  
서비스 시간 연중무휴, 365일 운영
(야간, 주말, 공휴일 포함)  
지원 횟수 연 최대 120시간 (기본형 기준)

 

*이용 요금 (2025년 기준)

가구 유형본인부담금 (시간당)정부지원 비율
기초생활수급자 0원 100% 지원
차상위계층 500원 90% 지원
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약 1,500원 75% 지원
중산층~고소득층 약 3,000원 50% 또는 자부담 100%

*신청 방법

  1. 사전 회원가입 필수:
  2. 긴급 돌봄 신청:
    • 웹사이트 또는 지역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기관에 전화 신청
    • 긴급한 경우 3시간 이내 배정되는 경우도 있음

✅ 2025년 서울시 임산부·출산 가정 추가 혜택 총정리


구분 혜택명 지원 내용 대상 및 조건
1️⃣ 맘편한 교통카드 임산부 교통비 지원 70만원(버스·지하철, 유류비) 서울시 거주 임산부, 임신 12주 이상부터 가능
2️⃣ 산모택시 바우처 10만 원 상당  출산 직후 산모 대상
3️⃣ 서울형 산후회복지원금 산후조리원 이용 시 최대 100만 원 추가 지원 서울시 거주 산모 (출산일 기준 6개월 이상 거주)
6️⃣ 찾아가는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 민간보다 추가 일수 또는 낮은 자부담 적용 서울시 거주자, 기준중위소득 180% 이하 우선
7️⃣ 출산 가정 기저귀·분유 지원 확대 기준중위소득  80%까지 적용  

 

📊 임신·출산 혜택 정리 표 (2025년 기준)

       
임신 중 건강관리 바우처 100만 원 전국 공통
  철분제/엽산제 무료 제공 보건소
  교통할인 기차 30% 할인 전국 공통
  근로시간 단축 출퇴근 시간 조정 직장인 대상
출산 후 첫 만남 이용권 200만 원 바우처 전국 공통
  부모수당 최대 월100만 원 0~1세 기준
  산후조리비 소득별 차등 서울은 추가 지원
  건강관리 서비스 산모·신생아 방문 돌봄 지원 소득 기준
  긴급보육 서비스 24시간 돌봄 가능 전국 확대
서울시 전용 교통지원 70만원 맘편한 서울
  엄마아빠택시 10만 원 서울시
  산후조리비 지원 100만 원 추가 지원 서울형